공부27 테스트 주도 개발(TDD) 라이브러리 3가지 mocha should superTest Mocha 테스트 코드를 실행시켜 주는 테스트 러너 테스트 수트: 테스트 환경 -> 모카에서는 describe()으로 구현 테스트 케이스: 실제 테스트 -> 모카에서는 it()으로 구현 모카 설치: npm -i mocha --save-dev 모카 실행: node.modules\.bin\mocha 실행파일명 예시 코드) //utils.js function capitalize(str){ return str.charAt(0).toUpperCase() + str.slice(1); } module.exports = { capitalize : capitalize }; //utils.spec.js spec이 들어간 파일은 테스트 파일이다. const util.. 2020. 6. 10. 익스프레스JS 익스프레스JS란? NodeJS로 만들어진 웹 프레임워크 개념 5가지 애플리케이션 미들웨어 - 익스프레스에 기능을 추가하고 싶을 때 사용 라우팅 - url 처리에 사용 요청 객체 응답 객체 애플리케이션 익스프레스 인스턴스를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함 ex)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express(); -> 익스프레스 객체를 받은 app이라는 변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필요한 기능인 미들웨어를 애플리케이션에 추가 라우팅 설정 가능 서버를 요청 대기 상태로 만들 수 있음 ex) app.listen(3000, function(){console.log('Server is running');}; 미들웨어 함수들의 연속 로깅 미들웨어 const express = .. 2020. 6. 10. NodeJS의 특징 특징 4가지 자바스크립트 코드는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코드(NodeJS가 나오기 전까지) 크롬에서 사용하는 V8 엔진을 사용하여 NodeJS가 브라우저 밖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됨 V8 엔진: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해석해주는 해석기 이벤트 기반의 비동기 I/0 프레임워크 CommonJS를 구현한 모듈 시스템 이벤트 기반의 비동기 I/O 프레임워크 클라이언트가 보내는 요청을 Event Loop가 처리 Event Loop는 Single Thread -> nodeJS는 싱글 스레드라고 하는 이유 요청들은 Event Queue에 들어가 있음 Event Loop는 Event Queue안에 들어있는 요청들을 하나씩 꺼내어 실행 후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해줌 무거운 Job(디스크 읽기, 네트워크 통신 등...)들은 .. 2020. 6. 9. JPQL JPQL(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이란? SQL과 비슷한 문법을 가진 객체 지향 쿼리 기본 문법 기본적으로 SQL문과 흡사 But 차이점 존재 대소문자 구분 Entity와 Entity 속성의 대소문자 구별 Select와 같은 키워드는 구별 x 참조 from 뒤에 사용하는 이름을 테이블 명이 아닌 Entity 객체 명을 사용 조인할 때 Entity의 속성 값으로 조인을 한다. -> Subscription s, Member m 이 아닌 Subscription s Inner Join s.member m 별칭 JPQL에서는 Entity의 별칭이 필수 예시 코드 Member Entity @Getter @Setter @EqualsAndHashCode(of = "userNo") @To.. 2020. 5. 17. SpringBoot SpringBoot를 왜 쓸까? 1 Auto Configuration Spring 기반 앱의 복잡한 설정 비슷한 기술 스택으로 다른 SpringMVC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려면 구성을 복사 붙여 넣기를 한다. => 반복되는 작업 SpringBoot는 이 작업을 자동으로 해준다. -> 클래스 path에 어떤 라이브러리가 있는지 확인 -> 무슨 라이브러리를 쓰는 지 확인 후 자동으로 Spring이 설정해준다. ( 의존성 추가와 필요한 Property만 세팅하면 끝 ) -> But 기본적인 관례는 필요하다.(Convention over configuration) -> 관례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것 -> 따라서 필요한 것만 개발자가 수정해주면 된다. Spring Boot 가 스캔하는 것 2가지 CLASS.. 2020. 4. 22. Restful Web Service with Spring 기존의 MVC controller - 지금까지의 Controller는 스트링(view로지컬 네임)을 리턴 RESTful Web Service Controller - 객체를 리턴 -> 객체는 JSON/XML포멧으로 Http Response의 Body부분에 담겨서 리턴된다. -> Spring에서 REST API 구현을 위해 알아야 할 것들 @RestController, @RequestBody, @PathVariable, ResponseEntity(자료구조) ※ 이제 JSON형태로 파싱하고 넘겨주고 해야 하기 때문에 프런트 엔드 부분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Http response의 구성요소 Status Line : status Code header Body 1. @ResponseBody Annotatio.. 2020. 4. 20. 이전 1 2 3 4 5 다음